전체글보기79 금요기획 - 신 블루오션, 돈벌레가 몰려온다. 말그대로 돈이되는 벌레들에관한 다큐멘터리다. 여러가지 벌레들로 인한 블루오션 사업들에대한 소개가 나오는데 말그대로 혁신적인 사업들이다. 그중 가장 흥미로웠던 사업은 천적사업! 천적사업이란 농가에서 해충들로인한 피해를 막기위해 농약을 뿌리듯 천적을 뿌리게 하는 사업이다. 천적도 물론 곤충이라 무공해 제품생산이 가능해진다니 보고 있자니 나도 저사업에 뛰어들고싶을정도였다. 일부 곤충마니아를 겨냥해 사슴벌레 유충을 키우시는분도 나왔는데 단지 유충한마리(에벌레)가 육백원인가 한다고한다. 말이 600원이지... 사슴벌레 한마리가 새끼를 낳을때 몇십마리씩 낳는다고 하고... 채취가 잘될때는 야생에서 1평에서 몇천만원어치씩 유충대박이 터지기도 했다고하니... 나중에 아버지랑 송이따위말고 사슴벌레 유충이나 찾으러 산이나.. 2011. 1. 24. 환경스페셜 - 개구리 멸종 시나리오(침묵의 여름) 매주수요일 저녁10시에 kbs1에서하는 환경스페셜을 즐겨보진 않습니다. 자연 동물 다큐는 시사점이 없어서 잘 보지 않게 되더군요. 하지만 이번주 개구리멸종시나리오는 제목도 자극적이고 뭔가 시사적인 내용을 담고있는것같아 호기심에 보게 되었습니다. 내용인즉슨 앞으로 20년내에 양서류 파충류가 멸종된다는 시나리오를 가정(개구리는 양서류의 대명사라고 할수잇겟죠?)하고 미래를 예상해보는식으로 진행됩니다. 그중 인상깊게 설명한 부분이 있어 동영상으로 따왔습니다. (역시나... 컴퓨터로 봤지만 컴터가 4년된 노트북이라 자체적으로 동영상편집이 불가해서 아이폰으로;;) 파충류.. 아니 양서류가 먹이사슬의 중간쯤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양서류가 없어질경우 생태계전반이 위험해진다는것을 아주 제대로 표현한 부분이죠? 그런데 양.. 2011. 1. 22. 블로그를 네이버에 검색등록하다! 네이버에 검색등록 신청했어요. 꼴랑 어제 블로그 시작했지만... 하루만에 방문자수가 10명을 넘는 기염을 토햇네요. 이게 모두 승미덕분이니 승미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ㅎㅎ 그래요... 다른것때문이 아니라 다큐때문이었네요. 이 블로그는 다큐멘터리를 위한 블로그니까~ ㅋㅋ 그런데 보면 전부 검색유입이 다음으로 이뤄졌어요. 제느낌인데 나이드신 50대 이상 아저씨 아주머니들이 다음을 많이 쓰는것 같아요. 보통 30대정도까진 네이버를 많이쓰죠. 국내 포털1위도 네이버고.... 그래서 네이버에서 승미를 검색햇더니~ 제글은 보이지도 않네요. 하지만 다음에서 치면~ 짜잔~ 바로 맨위에 위치 감동의 쓰나미..ㅠㅠ 그래서 네이버엔 왜 안되나 했더니... 티스토리 계정으로 하면 바로 네이버에 안올라가고 따로 등록신청을 해야.. 2011. 1. 22. 아이폰으로 블로그쓰기 아이폰 티스토리어플을받았어요. 블로그에 글올리는것까지도 가능하네요. 사진추가도 가능하고 현위치도 가능하네요 ㅎㅎ 아 대단한 기계나셧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2011. 1. 21. 인간극장 - 열아홉 승미의 희망커피 생명이 위태롭던 아버지를 위해서 주저없이 간을 이식해준 기특한 딸... 올해로 20살 인 승미 간 이식수술로인해 사회생활을 못하시는 아버지대신 직접 차를끌고나가 테이크아웃 트럭커피숍을 운영하는 이야기. 5부작으로 오늘종영했네요. 인간극장 볼만한 편이올라오면 항상아쉬워지는 금요일입니다. ㅎㅎ 사진은 승미가 만든 쿠키! 여자친구가 커피를 좋아하는데 이다큐보고 저기까지가서 커피먹고싶다고... 사진은 주인공인 승미가 만든 쿠키... 너무이쁘고 맛있어보여서 사진찍었어요. 세상에 저걸 손으로 만드는데 500원에 팔다니!! 컴퓨터가 역시 후져서 곰플레이어 스크린샷기능을 써도먹히질 않네요. ㅎㅎ 동영상돌아가는게 어디야; 오후11시 추가글... 알아보니 승미에게 힘이될수있도록 모금운동을 하고 있더군요?! 다음은 모금운동.. 2011. 1. 21. 심시티4 런던시(市)장 인구 38만 기금 4,996,000심 저소득층을 위한 대규모 아파트단지 간단해보이지만 저 도시하나 만드는데 약 20시간을 투자했네요. 워낙 심시티4를 오랜만에 하고 초보이기때문에 그렇지 고수분들 저정도는 껌이겠죠? 게다가 어려움난이도로 플레이해서 초반기금이 10만심뿐이었죠. 10만심 적지않은돈이지만 위에보이시는 저소득층단지정도 만들고나니 10만심이 딱 적정선이더군요. 초반에 윗도시에 공업도시 하나 세워주고 곰업도시와 주거지역을 오락가락하면서 수요를 맞춰주는작업만 50년간했네요. 공업도시에서 전기, 쓰레기 처리하고 주거지역에서 물공급하면서 무역균형을 이뤄가며 하는건 당연한 상식이겠죠? 살짝 오버해서 물 전기같은 자원을 넘치게하면 어김없이 수익선 그래프는 역전되고 다시 부수는등의 실수를 몇번했고 실수때문에 .. 2011. 1. 21.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